손익계산서
손익계산서는 일정 기간 동안의 영업성과를 표현한다. 그러므로 손익계산서의 위쪽에 보면 '20XX 년 1월 1일부터 20XX 년 12월 31일까지'라고 손익계산서가 작성된 기간을 명시하고 있다. 재무상태표가 일정 시점의 재무상태를 나타내는 것과 대조되는 사항이다.
손익계산서는 이익과 손실의 발생 원인에 따라 기록되어 있다. 손익계산서의 위에는 매출액과 매출원가가 기록된다. 매출액에서 매출원가를 뺀 금액이 매출총이익인데, 매출총이익은 기업의 생산활동의 결과를 기록한 것이다. 손익계산서의 다음 항목은 판매비와 일반관리비 항목이다. 판매비와 일반관리비 등은 기업의 영업을 위해서 필요한 비용들을 기록한 것이고, 매출총이익에서 판매비와 일반관리비를 차감한 금액이 영업이익이다.
그러므로 영업이익은 영업활동의 결과를 표현한 것이라고 할 수 있다. 영업이익에서 기업의 재무활동을 포함한 영업외수익과 영업외 비용을 가감하면 빕 인세 비용 차감전 순이익이 표시되고, 법인세비용을 공제하면 당기순이익이 계산된다.
기업의 당기순이익은 해당 기간 동안의 기업의 활동을 전체적으로 나타낸다. 기업의 당기순이익은 결국은 주주들의 몫이므로 그것의 배분 가능성을 나타내기 위해서 주당당기순이익을 계산하고 있다. 주당 당기순이익은 주주들에게 귀속되는 최종적인 기업의 성과를 나타내기 때문에 손익계산서에서 가장 중요한 회계적 자료라고 할 수 있다.
손익계산서를 살펴볼 때 주의하여야 할 점은 손익계산서 상의 숫자들이 현금흐름을 나타내는 것은 아니라는 사실이다. 회계적인 자료들은 발생주의 원칙에 의해서 작성된다. 즉 수입은 그것이 발생한 시점에서 기록되는 것이지 현금이 유입되는 시점을 기준으로 하는 것은 아니라는 사실이다. 예를 들어 회계적인 자료는 외상매출이 발생한 시점에서 수입이 발생한 것으로 계산하지만 현금흐름이 유입된 것은 아니다. 회계적인 자료가 현금흐름과 일치하지 않는다는 사실은 중요한 의미를 갖는다. 현금흐름은 재무관리 차원에서 매우 중요한 의미를 갖는 것이므로 설명이 추가될 것이다.
재무상태표
재무상태표는 일정 시점에 있어서의 기업의 재무상태를 보여주는데, 그것은 결국 기업의 재무결정의 결과인 것이다. 재무상태표의 한쪽에는 자산들이 열거되어 있는데 그것들은 자금이 어떻게 사용되었는지를 보여주며, 다른 쪽의 부채와 자기 자본은 자금이 조달된 원천을 보여준다.
재무상태표에 나타난 총자산은 기업의 투자결정의 결과이며, 부채와 자기 자본은 재무 결정을 통하여 어떻게 자금들이 조달된 것인가를 나타낸다. 자산들은 유동성의 순서에 따라 나열되고 부채와 자기 자본은 지급될 순서에 따라서 나열된다. 예를 들어 매입채무는 비유동부채보다 먼저 지급될 성질의 것으로 먼저 나열되고, 마지막에 지급될 부분인 자본은 끝에 나열된다. 재무상태표에 관해서 다음 몇 가지를 주목할 필요가 있다.
자산
모든 자산들이 화폐의 단위로 표기되어 있지만 실제로는 현금만이 화폐이다. 매출채권이나 미수금은 외부로부터 받아야 할 금액이고, 재고자산은 원부재료, 제품 및 상품에 투자된 금액을 나타낸다. 비유동자산들은 회사가 매입한 원가에서 감가상각비를 제한 금액으로 표시된다. 현금과 유가증권을 제외한 다른 자산들은 미래에 현금으로 전환될 항목들을 나타내는데 그것들도 현금과 같은 화폐의 단위로 표시되어 있기는 하지만, 실제로 현금으로 전환되는 금액과 항상 일치되는 것은 아니다. 즉 장부가치와 실제의 시장가치는 차이가 있는 것이 오히려 일반적이다.
부채와 자본
회사의 자산에 대한 지분들은 부채나 자본의 형태를 띤다. 자본에 대한 주주들의 지분은 잔여지분의 성격을 갖는다. 잔여지분이란 총자산에서 부채의 지분을 빼고 남은 부분에 대한 최종적인 소유권을 말하는 것이다. 그러므로 잔여지분은 고정된 것이 아니고 자산과 부채의 변동에 따라서 변화될 수 있는 것이다.
자산의 가치가 감소하고, 예를 들어 매출채권을 받지 못하게 되고, 부채는 그대로 남아 있다면 주주들의 소유지분인 자본은 감소하게 된다. 그러므로 자산가치의 변동에 대한 위험은 결국 주주들의 몫인 것이다. 물론 자산가치가 증가하게 되면 그 또한 주주들의 몫이며 그것들은 잉여금의 형태로 기록된다. 잉여금은 회사의 순이익에서 배당금과 투자금액을 제외한 저축금액을 말한다.
'재무관리' 카테고리의 다른 글
금융시장의 경제적 역할 (0) | 2021.05.01 |
---|---|
재무적 관점의 현금흐름 (0) | 2021.04.29 |
재무와 금융체계 (0) | 2021.04.27 |
현대의 재무관리 경향은? (0) | 2021.04.25 |
재무관리와 연관된 여러분야 (0) | 2021.04.24 |
댓글